성장 꺾인 IT공룡 '채용 다이어트' _ 매일경제(IT.과학)
#네이버 #게임업계 #카카오
#IT #경력직 #채용 #경력개발자
출처 : [단독] 네이버마저 채용 군살빼기…`코로나 특수` 사라진 IT 고용 한파 - 매일경제 (mk.co.kr)
[단독] 네이버마저 채용 군살빼기…`코로나 특수` 사라진 IT 고용 한파
작년 1100명 뽑은 네이버 올핸 600명 안팎 채용계획 게임업계도 비대면 특수 사라져 `개발자 모시기` 주춤
m.mk.co.kr
1. 핵심 내용
- WHAT : 네이버가 올해 채용을 경력직 중심으로 바꾸고 지난해의 70% 수준의 600명 안팎 채용 계획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 WHY : 경영환경이 변하고, 코로나19 일상 회복 전환과 금리 인상 여파로 전세계 정보기술(IT)업계에서 구조 조정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력 등에 따른 성장 둔화, 대내외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 HOW : 게임업계에서도, 신사업 NFT, 메타버스와 같은 것을 추진하기 위해 전문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카카오는 올해 1분기에만 임직원을 800명 늘리려고 하고있다.
2. 용어 정리
- 빅테크 :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및 플랫폼 혁신에 기반을 두고 온라인상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ICT 회사를 뜻한다.
- 거시경제 : 한 국가 전체의 경제현상을 분석하여 국가 전체의 소비, 투자 등을 연구하는 경제 학문. 주로 국민소득지표(GDP, GNP 등), 물가, 실업률, 경제성장, 국제수지, 환율 등이 주된 연구분야. Macro는 '거대한'이라는 뜻
3. 메모
-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으로 기업에 미치는 이런 것이며, 기업의 대응 방식에는 채용을 줄이는 것 밖에 없는가? 타 기업의 상황도 알아보고 싶다.
4. 적용할 점
- 네이버의 IT 이외의 산업 성장과정 살펴보기, 교육, 웹툰 분야 등 관심있는 쪽으로 살펴보고 현황 파악하기
"직접고용보다 외주로 전환" 스타트업도 채용축소 조짐_ 매일경제(IT.과학)
#IT기업 #스타트업 #빅테크 #외주업체 #투자 #외주개발 #프리랜서
1. 핵심 내용
- WHAT : 스타트업에서도 채용 축소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다.
- WHY :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라 시장 유동성이 축소되고, 이러한 금융 시장의 변화가 벤처 투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업 가치 재조정 얘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지난 몇년처럼 대규모 신규 투자를 받는게 힘들어졌다.
- HOW : 국내 IT 스타트업의 한 대표는 요즘 투자업계가 신규 투자에 대해 관망하는 자세로 돌아갔고, 고급 경력 개발자를 제외하고 몸값이 더 낮아질 수도 있을 거라고 전망했다.
2. 용어 정리
- 닷컴버블 : 인터넷 관련 분야가 성장하면서 산업 국가의 주식 시장이 지분 가격의 급속한 상승을 본 1995년부터 닷컴 버블이 붕괴된 2001년까지 걸친 거품 경제 현상이다.
- CTO : 임원 직책 중의 하나로 통칭 기업 내에서 최고 기술 책임자이다. 기업 또는 그 직업 조직 내에서 기술을 효과적으로 획득·관리·활용하기 위한 모든 경영지원 활동을 총괄하는 책임자
- 부트캠프 : 신병 훈련소라는 뜻
3. 메모
- IT 외주업체가 얼마나 늘어났고, 어떤 업체들이 생겨났을까?
4. 적용할 점
- IT업계 인력 전망을 살펴보고, 대기업들이 투자한 스타트업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싶다. IT 업계의 전반적인 경제전망은 언제 쯤 나아지는가.
'경제 공부 >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부동산) : 윤 정부 공시가격 현실화율 개편방안, 보유세 감면 (0) | 2022.06.02 |
---|---|
매일경제(경제) : 실질금리 -2.7% 기록, 더 낮아질 것 (0) | 2022.06.01 |
매일경제(경제) : 한은, 고물가에 연속 금리 인상 / 경제전망 / 물가중심 정책 (0) | 2022.05.30 |
매일경제(부동산) : 서울 빌라 전월세 거래 '사상 최대'/ 전세대란 / 임대차법 (0) | 2022.05.26 |
매일경제(기업) : 4개 대기업 그룹의 신성장사업 공격 투자 / 친환경, 모빌리티, 바이오(제약) (2)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