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스크랩
![[투자하려면 경제신문] 이수정, 두고 두고 읽어봐야할 책](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Fiot%2FbtrFJ94ahwx%2F3Q0RfdkdPQYyKfcHsP7GS0%2Fimg.jpg)
[투자하려면 경제신문] 이수정, 두고 두고 읽어봐야할 책
220522 ~ 220617 책 제목 : 투자하려면 경제신문 저자 : 이수정(크리스탈) 출판사 : BAON BOOK 나만의 평가 : 취향 저격 / 꽤 좋음 / 좋음 / 그냥 / 비추 한 줄 요약 :경제공부(신문 스크랩)의 계기가 되어준 책, 여러 번 읽어봐야 할 것 같다. '돈의 흐름', '경제의 흐름'을 읽는 경제공부를 시작한 것이다. 금리가 인하되었다면 그로 인해 생기는 변화,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나 자신이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으면서도 자본의 'ㅈ'자도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이 세상이 자본주의 경제체제로 돌아가는지도 몰랐고, 주식이 존재하는지도 몰랐다.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경제신문을 읽는 것이다. 왜냐하면 경제신문은 이 세상의 돌고 도는 모든 ..
매경(경제) : 원화값 13년만에 최저, 기준 금리 0.75% 인상 / 자이언트 스텝
달러당 원화값 13년만에 최저…美연준 고강도 긴축 본격화_ 매일경제(경제) #원화값 #자이언트스텝 #기준금리 #금리인상 #원화값_급락 출처 :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6/525056/ 달러당 원화값 13년만에 최저…美연준 고강도 긴축 본격화 1290원 무너져 1300원 위협 코스피 2440대, 연저점 깨져 www.mk.co.kr 1. 핵심 내용 WHAT 15일 달러당 원화값이 급락하며 약 1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 금리를 0.75%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 나설 것 WHY 1) 통상 금리 인상은 해당국 통화 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 2) 달러 가치가 오르기 때문에, 한국 금리에 변동이 없다면 해외로 자금이 빠질 가능..
매경(증권) : FAANG 2.0 업종 상승세, 늘어나는 미국 국채와 금리 / ETF 투자, 스태그 플레이션
인플레에 빅테크 힘 못쓸 때…대안으로 떠오른 `FAANG 2.0`업종은_ 매일경제(증권) #FAANG2.0 #미국국채 #금리인상 #스태그플레이션 #ETF 출처 : http://vip.mk.co.kr/newSt/news/news_view.php?MSid=P&sCode=21&t_uid=20&c_uid=1956798 인플레에 빅테크 힘 못쓸 때…대안으로 떠오른 `FAANG 2.0`업종은 ◆ 커지는 S공포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된 뒤 뉴욕 증시는 10일(현지시간) 3대 지수가 모두 급락한 채 마감했다 vip.mk.co.kr 1. 핵심 내용 WHAT 1)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로,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시장을 압박했다. 2)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된 뒤, 뉴욕 증시는 10일, 3대 지수가 모두 급락하였다..
매경(경제) : 원화값 급락, 원화보유액 감소 / 국가채무 심화
"외환보유액 감소 속도 너무 빠르다"…7개월새 215억달러 사라졌다_ 매일경제(종합 2면) #외화보유액 #원화값 #달러강세 #전쟁장기화 #GDP #국가채무비율 출처 :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6/499855/ "외환보유액 감소 속도 너무 빠르다"…7개월새 215억달러 사라졌다 지난달 16억달러 감소 달러당 원화값 급락 여파 무역적자·美빅스텝도 악재 올 나랏빚 100조 증가 전망 국가신인도 하락 우려 커져 대외 불확실성에 취약한 韓 秋 "건전재정 기조 세워야" www.mk.co.kr 1. 핵심 내용 WHAT 1) 원화값 급락으로 외화보유액이 단기간 만에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2)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49.7%로, IMF가 ..
매경(증권) :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도입, 실적배당형 상품 기대
내달 디폴트옵션 도입_ 매일경제(증권) #디폴트옵션 #퇴직연금 #원리금보장형 #실적배당형 #펀드 출처 : https://www.mbn.co.kr/news/stock/4777297 1. 핵심 내용 WHAT 1) 국내 퇴직연금 시장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디폴트 옵션'(사전지전운용제도) 시행을 앞두고 연간 수익률 5% 이상을 기대 2) 원리금보장형에서 '실적배당형'으로 본격화할 것으로 보임. WHY 낮은 수익률에 불만인 가입자들이 펀드매니저보다 상대적으로 고수익에 대한 기대가 큼. HOW 1) 실정배당형 상품(66.2%)에 대한 가입자 선호도가 원리금보장 상품(31.4%)의 두 배가 넘게 나타났다. 2) 실적배당형 상품으로는 펀드와 원리금보장형을 결합한 포트폴리오(24.8%)를 가장 많이 선택 이런 제도는 긍..
매경(경제) : 중소기업 대출 58조 '부실 시한폭탄', 이자보상배율
중기 대출 58조 '부실 시한폭탄' _ 매일경제(경제) #이자보상배율 #중소기업 #대출 #금리인상 #중기대출 #인플레이션 #한국경제연구원 출처 :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6/494851/ 중기 대출 58조 `부실 시한폭탄` 이자 낼 돈보다 영업이익 적은 기업 중기 대출의 30% 차지 9월 코로나 금융지원 종료 안전판 사라져 돈줄 경색 우려 www.mk.co.kr 1. 핵심 내용 WHAT 1) 올해 하반기부터 중소기업 부실 본격화 2) 국내 시중 은행들이 중소기업에 빌려준 58조원의 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 WHY 1) 오는 9월부터 정부의 코로나 19 금융지원 조치가 종료되고 5차례 금리 인상까지 겹쳤기 때문 2) 원자재 값 상승과 성..
매일경제(부동산) : 윤 정부 공시가격 현실화율 개편방안, 보유세 감면
집값 급등하면 공시가 인상 늦춘다, 사실상 보유세 감면 _ 매일경제(부동산) #보유세 #공시가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윤석열정부 #공시제도 출처 :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2/06/484785/ 집값 급등하면 공시가 인상 늦춘다…사실상 보유세 감면 정부 `현실화 로드맵` 개편 탄력 적용안 11월 내놓기로 www.mk.co.kr 1. 핵심 내용 WHAT : 윤석열 정부가 종합 부동산세와 재산세 산정의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 현실화율에 대한 개편 방안을 올해 11월까지 내놓기로 했다. WHY :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던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으로 인해 세금 부담이 지나치게 가중됐기 때문이다. HOW : 사실상 현실화 목표치를 하향 조정하거나, 목..
매일경제(경제) : 실질금리 -2.7% 기록, 더 낮아질 것
실질금리 -2.7% 쓸 돈 쪼그라든다 _ 매일경제(종합1면 경제) #금리인상 #실질금리 #물가상승 #예금금리 #인플레이션 1. 핵심 내용 WHAT : 31일 한은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실질 예금금리는 연 -2.7%로 집계되어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WHY : 인플레이션이 가파르게 진행되었고 예금금리와 다르게 실질금리는 갈수록 떨어졌기 때문이다. HOW : 물가 상승률이 5%에 달하면, 실질금리 하락 속도는 더 가파를 것이다. 2. 용어 정리 실질금리 : 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것을 의미한다. [실질금리 = 명목금리 - 인플레이션율]. 만약 미국 (명목)금리가 + 1%이고, 물가상승률은 연간 - 3%를 기록하고 있다면 실질금리는 4%가 된다. 기준금리 : 한국..
매일경제(IT.과학) : 네이버, 개발자 채용 줄여 / 스타트업도 마찬가지
성장 꺾인 IT공룡 '채용 다이어트' _ 매일경제(IT.과학) #네이버 #게임업계 #카카오 #IT #경력직 #채용 #경력개발자 출처 : [단독] 네이버마저 채용 군살빼기…`코로나 특수` 사라진 IT 고용 한파 - 매일경제 (mk.co.kr) [단독] 네이버마저 채용 군살빼기…`코로나 특수` 사라진 IT 고용 한파 작년 1100명 뽑은 네이버 올핸 600명 안팎 채용계획 게임업계도 비대면 특수 사라져 `개발자 모시기` 주춤 m.mk.co.kr 1. 핵심 내용 WHAT : 네이버가 올해 채용을 경력직 중심으로 바꾸고 지난해의 70% 수준의 600명 안팎 채용 계획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WHY : 경영환경이 변하고, 코로나19 일상 회복 전환과 금리 인상 여파로 전세계 정보기술(IT)업계에서 구조 조정이 잇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