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디폴트옵션 도입_ 매일경제(증권)
#디폴트옵션 #퇴직연금 #원리금보장형 #실적배당형 #펀드
출처 : https://www.mbn.co.kr/news/stock/4777297
1. 핵심 내용
WHAT
1) 국내 퇴직연금 시장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디폴트 옵션'(사전지전운용제도) 시행을 앞두고 연간 수익률 5% 이상을 기대
2) 원리금보장형에서 '실적배당형'으로 본격화할 것으로 보임.
WHY
낮은 수익률에 불만인 가입자들이 펀드매니저보다 상대적으로 고수익에 대한 기대가 큼.
HOW
1) 실정배당형 상품(66.2%)에 대한 가입자 선호도가 원리금보장 상품(31.4%)의 두 배가 넘게 나타났다.
2) 실적배당형 상품으로는 펀드와 원리금보장형을 결합한 포트폴리오(24.8%)를 가장 많이 선택
이런 제도는 긍정적이게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경기상황과 퇴직연금의 상관관계가 크게 미친다면, 이대로라면 정책 수립이 조금 힘들지 않을까라는 생각
2. 용어 정리
- 디폴트옵션 : 퇴직연금 가입자의 운용 지시가 없을 때 근로자가 사전에 정한 상품으로 운용하도록 한 제도다. 가입자 지시 없이 총 6주가 경과하면 자동으로 적용된다.
- 원리금보장형 : 이율보증형 1년 ~ 5년 까지의 운용상품. 최고·최저 수익률은 해당 만기 및 해당 제도유형내의 실제 적용이율의 최고치와 최저치 수익률
- 실적배당형 : IBK연금보험 금융시장 상황에 따라 채권 및 유동성 자산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이자소득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 펀드순자산(NAV)의 95%이하로 투자함을 원칙으로 하며, 나머지는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유동성자산 등에 투자
- 펀드 :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모금한 실적 배당형 투자 기금.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에 대한 투자를 위해 고객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구성하는 일정 금액의 자금 운용 단위를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는 펀드 상품 자체까지 펀드라고 부른다. 은행, 증권사 등에서 가입할 수 있다.
3. 메모
-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의 한계점과 그에 따른 기준이 따로 있을지 궁금하다.
- 이전 원리금보장형 퇴직연금의 가장 큰 문제점은 뭘까?
4. 적용할 점
- 퇴직연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미래 계획은?
'경제 공부 >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증권) : FAANG 2.0 업종 상승세, 늘어나는 미국 국채와 금리 / ETF 투자, 스태그 플레이션 (0) | 2022.06.13 |
---|---|
매경(경제) : 원화값 급락, 원화보유액 감소 / 국가채무 심화 (0) | 2022.06.08 |
매경(경제) : 중소기업 대출 58조 '부실 시한폭탄', 이자보상배율 (0) | 2022.06.06 |
매일경제(부동산) : 윤 정부 공시가격 현실화율 개편방안, 보유세 감면 (0) | 2022.06.02 |
매일경제(경제) : 실질금리 -2.7% 기록, 더 낮아질 것 (0) | 2022.06.01 |